이전 글에서 SpringSecurity가 OAuth 로그인을 처리하는 과정을 디버깅을 통해 학습했습니다.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식도락 프로젝트의 기존 OAuth 로그인 코드를 개선한 과정에 대해 글을 써보려 합니다. 기존의 문제점 카카오 로그인에 의존적이며 확장에 닫혀있는 코드. 새로운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확장하기 위해서는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뿐만 아니라 비즈니스로직이 담긴 서비스 클래스까지 변경이 발생합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작성해야되는 클래스가 너무 많이 필요합니다. Properties 클래스의 주입. 기존의 서비스 코드에서는 카카오api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담은 KakaoProperties 클래스를 직접 주입받아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즉, 새로운 플랫폼을 지원할때마다 주입받아야하는 클래스가 늘..